-
목차
블로그를 운영하며 수익화를 꿈꾸는 이들에게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는 매우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광고를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수익의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로그 광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글 애드센스 수동 광고 삽입 방법을
서식 기능과 div 코드 활용법 중심으로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수익에 따라 갈리는 광고 삽입 방식 : 자동 vs 수동
애드센스 광고 삽입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자동 광고 : 설정만 해두면 구글이 알아서 광고를 블로그 전체에 배치합니다. 단점은 원하는 위치에 광고를 넣을 수는 없습니수
- 수동 광고 : 광고 코드를 직접 삽입합니다. 내가 원하는 위치에 광고를 넣을 수 있어 수익률을 높이는 데 유리합니다.
광고 수익 최적화의 핵심은 바로 이 '수동 광고'에 숨어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동 광고 코드 만드는 방법
수동 광고를 넣기 위해선 먼저 광고 코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 구글 애드센스에 접속 후 ‘광고’ 메뉴에서 ‘광고 단위 기준’ 선택
- 원하는 광고 유형 선택 (디스플레이, 인피드, 일치하는 콘텐츠 등)
- 광고 이름 지정 후 [만들기] 클릭
- 생성된 광고 코드를 복사
이제 복사한 코드를 블로그의 HTML 모드에서 원하는 위치에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주의사항:
광고 코드는 꼭 HTML 모드에서 넣어야 하며, 일반 텍스트 모드에서는 코드가 깨질 수 있습니다.
서식 기능을 활용해 수동 광고를 더 편리하게!
수동 광고의 단점은 매번 광고 코드를 복사/붙여넣기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티스토리의 서식 기능입니다.광고 서식 만드는 방법
- 티스토리 관리 메뉴 → [서식관리] 클릭
- HTML 모드로 전환 후, 애드센스 광고 코드 붙여넣기
- 기본모드로 다시 돌아 옵니다.
- 서식 제목 입력 후 저장. 제목은 원하는 대로 넣으시면 됩니다.
이제 글을 작성할 때 상단 메뉴의 점 3개(…)를 누르면 저장해둔 광고 서식을 쉽게 삽입할 수 있습니다.
시간도 절약되고 실수할 일도 줄어들죠.
div 태그로 광고 코드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자
수동 광고를 자주 넣다 보면 코드가 깨져서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때는 광고 코드를 아래 사진과 같이 광고 코드 처음과 끝에 <div>...</div> 태그를 입력하면 문제 해결!이처럼 div 태그는 광고 코드가 하나의 묶음 단위로 인식되도록 해주기 때문에
편집 중 실수로 코드가 분리되거나 누락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자동 광고보다 수동 광고가 수익에 더 좋은 이유
자동 광고는 편리하지만, 사용자의 스크롤 흐름과 콘텐츠 집중도에 최적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수동 광고는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콘텐츠 중간에 자연스럽게 삽입 가능
- 사용자 이탈률이 낮아짐
- 클릭률(CTR) 증가 기대
- A/B 테스트를 통해 최적 위치 탐색 가능
특히 본문 중간, 첫 번째 제목 위, 댓글 위 등은 수익률이 높은 대표적인 광고 위치입니다.
마무리 : 처음은 번거롭지만, 수익은 확실하게
처음에는 수동 광고 삽입이 귀찮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광고 서식 기능과 div 코드만 제대로 활용하면
한 번의 세팅으로 매번 효율적인 광고 배치가 가능해지며,
이는 결국 더 높은 수익으로 연결됩니다.블로그 수익을 높이고 싶다면
자동 광고에서 벗어나 수동 광고를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구글 크롬과 네이버 시크릿 모드 사용하는 법? (0) 2025.04.03